
영화 ‘인턴(The Intern, 2015)’은 단순한 직장 코미디가 아니라, 세대와 세대를 잇는 감동적인 성장담이다. 70세의 인턴 ‘벤 휘태커(로버트 드 니로)’와 젊은 CEO ‘줄스 오스틴(앤 해서웨이)’의 만남을 통해, 변화에 적응하는 용기와 세대 간 존중의 가치를 그린다. 본 리뷰에서는 영화가 전하는 커리어 전환의 메시지, 변화의 수용, 그리고 인생 2막의 도전정신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커리어의 전환, 새로운 시작을 선택한 용기
영화는 퇴직 후 무료한 일상을 보내던 ‘벤 휘태커’가 스타트업 기업에 인턴으로 지원하면서 시작된다. 그는 더 이상 생계 때문에 일하지 않는다. 대신 삶의 의미를 되찾기 위해 ‘다시 일하기’를 선택한다. 이 설정은 현대 사회에서 은퇴 이후의 삶을 고민하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벤은 젊은 세대가 주도하는 디지털 스타트업에서 아날로그적인 가치와 인간미를 보여준다. 업무 속도는 느리지만, 그의 태도는 진심이고, 매사에 신중하다. 이런 태도는 회사 동료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경험은 결코 낡지 않는다”는 메시지가 바로 여기서 비롯된다. 이 장면들을 통해 감독 낸시 마이어스는 단순한 세대 충돌을 다루지 않는다. 오히려 세대 간 ‘협력’을 보여준다. 인생의 2막에서 새로운 도전을 선택한 벤은, 나이를 넘어 ‘성장하는 인간’의 모습을 상징한다. 커리어의 끝이 아닌, 또 다른 시작을 향한 여정을 보여주는 이 영화는 중장년층뿐 아니라 젊은 세대에게도 “변화를 두려워하지 말라”는 응원의 메시지를 전한다.
변화 속의 성장, 세대 간 존중의 미학
‘인턴’의 또 다른 핵심은 세대 간 존중과 공감이다. 젊은 CEO 줄스는 완벽주의적 리더다. 회사의 모든 일에 직접 관여하고, 사적인 시간조차 일로 채운다. 그런 그녀의 곁에서 벤은 조용히 조언하고, 묵묵히 도와준다. 두 사람의 관계는 상사와 부하의 관계를 넘어, 멘토와 친구로 발전한다. 벤의 태도는 단순히 경험의 결과가 아니다. 그는 상대를 비판하기보다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함께 고민한다. 그의 존재는 ‘효율성’만을 추구하던 조직에 ‘온기’를 불어넣는다. 이 영화가 특별한 이유는, 벤이 줄스에게 ‘삶의 균형’을 가르치고, 줄스가 벤에게 ‘새로운 세상’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서로 다른 세대가 서로에게 배우며 성장하는 과정이 자연스럽게 그려진다. 이 영화가 전하는 핵심은 ‘세대차이’가 아닌 ‘세대연결’이다. 벤은 말한다. “좋은 태도는 언제나 패션이야.” 이는 단순한 농담이 아니라,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인생철학이다. 변화의 시대 속에서도 진정한 가치가 무엇인지를 일깨워주는 대사다.
도전정신의 재발견, 인생 후반전의 의미
‘인턴’은 단지 시니어의 재취업 이야기가 아니다. 그것은 도전정신의 재발견에 관한 영화다. 벤은 편안한 일상을 뒤로하고 새로운 환경으로 뛰어든다. 그는 기술적으로 부족할지라도, 태도와 성실함으로 인정받는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것을 행동으로 보여준다. 특히 영화 후반부에서 벤은 줄스의 개인적 위기를 묵묵히 곁에서 지켜본다. 그의 존재는 조언보다 강력한 ‘믿음의 신호’다. 인생 후반전의 도전은 단순히 직업의 문제가 아니라, 자기 자신과의 싸움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감독은 이 과정을 통해 “인생은 언제든 새롭게 시작할 수 있다”는 희망을 전한다. 젊은 세대에게는 ‘끊임없이 배우는 자세’를, 중장년층에게는 ‘포기하지 않는 용기’를 일깨운다. 결국 ‘인턴’은 나이와 상관없이 누구나 다시 시작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응원장 같은 영화다.
영화 ‘인턴(The Intern)’은 인생의 2막을 준비하는 모든 이들에게 보내는 따뜻한 메시지다. 변화는 두렵지만, 그 안에는 새로운 기회가 있다. 벤과 줄스의 이야기는 세대와 세대를 잇는 다리이자, 일과 삶의 균형을 회복하는 여정이다. 이 영화는 단순한 직장영화가 아니라, 삶의 태도에 관한 이야기다. 나이를 넘어선 도전, 경험이 주는 지혜, 그리고 함께 성장하는 관계의 아름다움이 이 영화 속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